드디어 모든 유저들이 기다려온 디아블로3 1.05가 아시아 서버에 업데이트가 시작되었다. 이번 패치에는 몬스터 단계, 불지옥 장치 등의 새로운 컨텐츠 추가와 액트간의 아이템 드랍 확율 차이도 붕괴되며 이제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파밍이 가능해 졌다. 이번 디아블로3 패치는 10월 18일 오전 5시부터 오후 3시까지 업데이트할 계획이며 이번 디아블로3의 업데이트로 많은 유저들이 플레이 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과연 이번 주말에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플레이 할지 기대되는 바이다.
1막 등장 위치: 고난의 벌판 이름: 오데그 공격 타입: 원거리형 사용 기술: 융해, 밀치기, 가두기, 세 갈래 화염구(화염구를 전방에 세 갈래로 발사한다) 2막 등장 위치: 달구르 오아시스 이름: 소카르 공격 타입: 근거리형 사용 기술: 감속 지대, 소용돌이, 순간이동, 회전 시 포격과 투사체 반사 3막 등장 위치: 돌보루 이름: 자리스 공격 타입: 원거리형 사용 기술: 환영술사, 밀치기, 순간이동, 좀비 비(아즈모단 시체 낙하 기술과 비슷하며 피격시 슬로우 효과에 걸리게 된다. 좀비가 떨어지는 곳에 미리 낙하 표시가 생기며 좀비가 떨어진 후에도 해당 지역은 빙결 상태가 되어 이동속도를 늦춘다) 4막 등장 위치: 은빛 탑 1층 이름: 데카라트 공격 타입: 근거리형 사용 기술: 공포, 밀치기, 가두기, ..
현제 북미서버에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 북미에서 플레이 중인 많은 유저들의 후기가 올라오고 있는데 그 중 눈여겨 봐야할 사항은 아이템의 질이 지금보다 상승 했다는 것이다. 위 사진과 같이 목걸이 같은 경우 극대화 피해의 옵션 한계가 풀리면서 최대 100까지 붙는 것을 볼 수 있고 옆에 주니마사의 두창병을 보면 패치전엔 3.5~4.0가 평균적으로 붙었다면 지금은 5.0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되며 패치 후 반지 최대 극대화 확률인 6.0까지 붙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 외 전설 세트 악세사리도 마찬가지고 지금보다 옵션이 높게 붙으며 현제 풀린 악세는 패치 후에는 얼마지나지않아 똥값을 칠 것으로 보인다.
디아블로3 초창기에 엄청난 유저 수로 서버의 불안정으로인해 한때 아이템 복사 사건이 터졌으나 곧바로 픽스 수정과 복사한 유저 블럭으로 마무리 짓는가 싶었는데 최근 또 아이템 복사가 행해 진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그 방법으로 해킹 자작이라는 편법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로 인해서 이후에 해킹으로 인한 복구가 더욱 어려워져 진실로 해킹을 당한 유저가 피해를 보지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는 가운데 한시바삐 블리자드는 이러한 사태를 막기위한 조치를 취해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때 과연 디아블로3 제작진은 어떤 조치를 할지 지켜봐얄듯하다.
'괴물 강화' 시스템은 대기실에서 esc 누르기 ▶ 게임 메뉴 ▶ 설정 ▶ 게임 플레이 ▶ 괴물 강화 단계 선택하기 항목에 체크하는 것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불지옥 장치 생성부터 반지 만들기 까지 간단 정리 ■ 1단계 : 불지옥 장치 재료 모으기 도면 : 4막 은빛 탑 1층 ▶ '열쇠지기 네카라트' 파괴의 열쇠 : 1막 고난의 벌판 ▶ '열쇠지기 오데그' 증오의 열쇠 : 2막 달구르 오아시스 ▶ '열쇠지기 소카르' 파괴의 열쇠 : 3막 돌보루 ▶ '열쇠지기 자리스' 대장장이에게 도면 습득 ▶ 제작 ▶ 불지옥 장치 완성 2단계 : 불지옥 장치로 포탈 생성 1막의 '신 트리스트럼으로 돌아가기' 퀘스트 선택 -> 치유사 말라키 뒤쪽의 문 파괴 -> 이교도 거처로 입장 -> 불지옥 장치 마우스 우 클릭..
10월 13일 디아블로3 하드코어 유저중 최초로 정복자 100레벨이 등장하여 충격을 안겨준 이가 있으니 바로 Mage(Azimuth#2255)이다. 디아블로3 랭킹 사이트에서도 14위의 고랭커 유저인 mage는 저레벨 아이템인 케인세트를 차고 높은 경험치 플러스를 이용하여 액트 1을 돌아 100레벨을 찍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위 사진에서도 보이듯 2등과는 11차이로 다른 클레스도 아닌 마법사로 제일 먼저 찍었다는 점에서 해외와 국내 모두에서 대단하다는 평을 받고있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